728x90

docker 가 설치 된 부분이다.
image : 도커의 이미지와 레이어를 저장하는 부분
overlay2 : layer를 실제로 저장하는 디렉토리.
디렉토리 사이즈 재는 법 (du -sh ~)

image, overlay2, containers 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. overlay에 실질적인 데이터가 배치가 되는데,
이 데이터가 어떻게 배치가 되는지 알아보자.
실무자는 이런 디렉토리 storage를 별도로 저장하는 방법을 궁금해 하는데, overlay2를 따로 마운팅 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하면 스토리지를 별도로 구현해 사용 가능하다.
앞에서 다운받았던 nginx 정보 확인하기 (docker inspect nginx)

id: 이미지가 가지는 해쉬값(알고리즘을 돌려서 겹치지 않는 string 만드는 것 ) sha256 이라는 알고리즘을 돌려서 겹치지 않는 해쉬값을 갖게 했다!
tags : 위의 inspect 명령에서 nginx 뒤에 버전 명이 붙지 않아서 버전 명인 latest 가 자동으로 붙게 된다 !

실제로 서비스를 외부에 할 포트를 적어놓은 것!

컨테이너로 바꿔서 실행 했을 때 그 안에서 프로세스를 어떻게 실행시킬 지 알려주는 것.
[ nginx 를 실행한다
-g 에
daemon off 라는 명령을 줘서 ]
'Data Engineering > Dock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Docker 설치 (yum-config-manager Error) (0) | 2025.02.12 |
---|---|
Docker file 만들어보기! (0) | 2021.03.20 |
Docker 명령어 (생성,실행,중지,삭제) (0) | 2021.03.13 |
Docker에서 원하는 이미지 다운받는 방법 / 도커 레지스트리 (0) | 2021.03.12 |
ubuntu 에서 Docker 설치 시 E: Failed to fetch http://security.ubuntu.com/ubuntu/pool/main/d/dnsmasq/dnsmasq-base_2.80-1.1ubuntu1.2_amd64.deb 404 Not Found 에러 해결 법 (0) | 2021.03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