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코드 작성 시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기를 한다.
예) 클래스는 첫 문자를 대문자, 변수명은 알아 볼 수 있게...
하지만 같이 일을 하는 입장에선 서로 법칙을 정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면 훨씬 일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.
프로젝트는 대화가 기본이니, 이런 기본적인 것부터 지켜야 한다.
1. 카멜 표기법
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되, 맨 앞에 오는 글자는 소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.
표기한 모습이 낙타의 등과 같다고 하여 카멜 표기법이라고 부른다.
int totalNumber;
왜? 눈에 잘 띄려고!!
2. 파스칼 표기법
카멜표기법과 거의 흡사하지만 맨 앞에 오는 글자도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.
int TotalNumber;
3. 헝가리안 표기법
접두어에 자료형을 알아볼수 있게끔 표기하는 것이다. (요새는 잘 사용 안함)
예) 문자열은 변수명 앞에 str을 붙인다.
String strName;
4. 스네이크 표기법(Snake Case)
단어 사이에 언더바를 넣어서 표기하는 것이다.
int total_number;
변수 -> 카멜표기법
클래스 -> 파스칼표기법
함수 -> 스네이크표기법
'Language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rip(), sep(),zip() (0) | 2021.02.21 |
---|---|
주피터로 flask - BeautifulSoup() (0) | 2021.02.17 |
본격적인 API 개발-미니터 만들기. (1) 회원가입, 트윗 글 엔드포인트 (0) | 2021.02.09 |
About HTTP (feat. 쿠키, 세션) (0) | 2021.01.29 |
ping 엔드포인트 구현, 기초적인 API 개발,실행 (1) | 2021.01.28 |